플랫폼 신규 제안

‘해외 우수 플랫폼 디렉토리’란?

플랫폼이란?
  • 해외에서 공연·전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한국 예술인을 초청하여 개최하는 주체를 통칭하며, 공연장, 전시장, 아트센터, 비엔날레 등을 말합니다.

목적
  • ‘우수 플랫폼으로 진출하는 작품’을 지원함으로써, 문화예술인들의 신청-심사-결과 보고 단계의 부담을 줄이고 지원 가능 여부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구축 경과
  • 2017년 이후 문화예술단체가 기존 지원사업을 통해 진출한 목록 및 42개 재외문화원· 문화홍보관, 40개 주요국가 공관, 전문가의 추천 목록을 대상으로 여러 현장 문화예술인들의 심사를 거쳐 2024년 11월 최초 구축하였습니다. 이후 문화예술인, 유관기관의 신규 제안을 받아 심사를 거쳐 플랫폼 디렉토리를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향후 운영 방식
  • 플랫폼 신규 제안은 <케이-아츠 온더고> 누리집(www.k-go.or.kr)을 통해 누구나 제출할 수 있습니다.
    제안된 플랫폼은 검토 절차를 거쳐 아래 일정에 따라 결과가 공개됩니다.

    2025년 11월 ~ 2026년 3월 접수분 → 2026년 5월 결과 발표
    2026년 4월 ~ 2026년 8월 접수분 → 2026년 10월 결과 발표

    2027년부터는 플랫폼 디렉토리 업데이트가 매년 1회(10월)로 통합 운영될 예정입니다.
    (전년도 10월 ~ 당해연도 8월 접수분 → 매년 10월 결과 발표)

    또한 2027년부터는 플랫폼 디렉토리 전체 목록에 대한 정기적인 검토 및 재평가가 실시될 예정입니다.
    그 결과, 운영상 문제가 있거나(예: 폐관 등)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일부 플랫폼은 일정한 유예 기간을 거쳐 목록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플랫폼 디렉토리 선정시 고려사항

플랫폼 디렉토리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플랫폼 선정 시 아래의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예정입니다.

공연예술

인지도/명성
  • 대중과 예술계 모두에게 잘 알려진, 높은 인지도와 명성을 가진 플랫폼

네트워크 영향력
  • 참여 예술인과 리더의 명성, 네트워크를 통해 예술계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플랫폼

예술적 영향력
  • 국제적으로 예술적 파급력이 높고, 국내외 교류 확대에 기여하는 플랫폼

운영 활성화
  • (시설) 다양한 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홍보와 재정이 활발한 플랫폼
    (페스티벌) 관람객 규모와 라인업의 다양성이 높고, 개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플랫폼

예술적 정체정
  • 명확한 예술적 방향성과 전문성, 기획력 및 큐레이션 역량을 갖춘 플랫폼

지역적 고려
  • 지역 간 균형 및 해당 지역과의 전략적 문화예술 교류의 필요와 확대 가능성

시각예술

예술적 영향력
  • 해당 국가의 미술계를 대표하며, 작가 성장과 예술적 교류에 기여하는 플랫폼

기획/실행력
  •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전시와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며 미술 담론을 형성하는 플랫폼

교류협력 가능성
  • 예술가의 창작 활동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협력 가능한 인력과 네트워크를 갖춘 플랫폼

지속 가능성
  • 투명한 운영과 재정 안정성, 전문 인력 확보 등으로 지속 가능한 플랫폼

지역적 고려
  • 지역 간 균형 및 해당 지역과의 전략적 문화예술 교류의 필요와 확대 가능성